7장(2) 음운 현상의 구성 요소
입력 -> 출력 (입력과 출력 사이에는 시간(전, 후)과, 환경(변화가 일어나는 환경)이 개입된다) 입력, 출력, 환경(왜 일어나는가?) A(입력) -> B(출력) / _(환경) C : A가 B로 바뀌었다 C 앞에서 이것의 장점은 직관적으로 잘 보이고, 분리해서 각각을 드러내기가 쉽다는 것이다. 음운 현상의 분류 ▶ 말소리(음운현상)에 나타나는 유형 1. A -> B: 대치 -> 음소가 대치되었다기 보다 변별적 자질이 대치되었다고 보는게O (교체 X) 2. A -> ∅: 탈락, 삭제 3. ∅ -> A: 첨가, 삽입 4. AB -> C[+A, +B]: 축약(A, B가 C로 합쳐졌다, 각각의 속성을 보존하고 있다) 5. AB -> BA: 도치 대치가 가장 많이 일어나고, 탈락, 첨가, 축약, 도치(많이 안 ..
2022. 1. 20.
8장 교체
교체는 하나의 기저형, 형태소가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꽃/-> [꽃], [꼳], [꼰], [꼼] /형태소/-> [n1], [n2], [n3], [n4] 형태소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소리의 최소 단위를 뜻하고 [n1], [n2], [n3]…는 이형태이다. 이를 형태와 이형태의 관계라고 하며 이것은 음소와 변이음의 관계와 비슷하다. 형태는 우리 머릿속에 있는 추상적인 것이고, 이형태는 실제로 우리가 듣고 사용하는 구체적인 것을 말한다. 1.2. 교체와 이형태 [꽃]-> 대표 이형태, 기저형으로 잡는다 [꼳]-> 평파열음화 [꼰]-> 평파열음화, 비음화 [꼼]-> 평파열음화, 양순음화 ▶ 교체형끼리는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교체유형 *동기(자동성) – 자동적교체: 제약에 의해 무조..
2018.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