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국어음운론강의21

7장(1) 음운현상의 이해 음운현상이란? 음운변화를 관찰하고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설명해내는 것 통시적 현상과 공시적 현상을 구분하는 이유는 더 본질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 통시적 현상(변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과거에서 지금까지 시간이 변하면서) Ex. ᄀᆞᅀᆞᆶ > 가을 ▶ 공시적 현상(변동): 말하는 순간, 특정 상황에서 변화하는 것 Ex. Read: 읽- -> 읽어라[일거라], 읽으면[일그면], 읽고[일꼬], 읽는다[잉는다] but 다른 언어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따르지 않는다. Ex. 천안문 (tiananmun) -> 독립적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國文 -> 중국에서는 두개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국문(ㄱ(입력)->ㅇ(출력)): 우리의 머리속에는 [궁문] -> 통시적: 과거의 어느 순간에 바.. 2018. 12. 2.
6장 음운론적 제약 제약을 따지는 이유: 음운 규칙을 보다 정확하게, 근본적인 차이에서 이해하기 위해서 1. 음운론적 제약의 이해 ▶ 국수 -> [국쑤]라고 발음되는 이유(경음화가 일어나는 이유) ▶ Spring: ㅅㅍ링이 안되는 이유 -> 한국에서 초성에는 1개의 자음만 올 수 있기 때문에 ▶ Bat: 뱉X, 배트 -> 한국어는 종성에 ㅌ이 올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원어의 발음과도 달라지기 때문에(원어는 ㅌ소리가 나지만 ‘뱉’으로 발음하면 ㄷ으로 발음된다) 뒤에 ‘ㅡ’를 넣어서 2음절로 수용한다. ▶ 값도/값이/값 [갑]: 음절이라는 단위/초성, 중성, 종성 -> 구조제약 ex. 초성에는 하나의 자음만 온다 ex. 잎->입(구조제약) 음절말에는 7개의 자음만 올 수 있다. ▶ ㄱ, ㅏ, ㅂ -> 배열(개별 음소들의 연.. 2018. 12. 2.
5장 음절 음절: 발화할 수 있는 최소의 단위 cf. 음소: 뜻(의미)를 구별해주는 최소의 단위 언어에 따라 자소단위, 음절 단위가 다르다. ♥ 한국: 하나의 음절이 하나의 글자로 표기 -> 우리는 음절단위로 문자를 센다 ♥ Hankuk: 하나의 음절이 여러글자로 표기 ♥ 韓國: 하나의 음절이 하나의 글자이자 하나의 단어 2. 한국어의 경우(중성만 있어도 음절을 만들 수 있다) C: 초성 GVG: 중성(필수적이다) C: 종성 G: 반모음 V: 단모음 C: 자음 V: 아GV: 야, 와VG: 의CV: 가VC: 악CVC: 각CGV:갸GVC: 약, 왁CGVC: 갹, 곽 CVG: 희, 긔 CVGC 븬, 긕 VGC 읨 현실 발음을 고려하면 3개는 잘 나타나지 않음 공통적으로 이중모음 ㅢ가 들어감. ※ '읊다', '없다'의 초.. 2018. 10. 8.
퀴즈 1. [도끼]와 발음이 같은 것은? 답: 1, 2, 5 1. 도끼 tok'i 2. 토끼 thok'i 3. 토기 thogi 4. 도기 togi 5. 토키 thokhi t, th, t' -> t g -> g k, kh, k' -> k 유성음 무성음(->유성음) 유성음 2. 자음체계에 대해 논하시오. 음운체계는 체계적인 대응과 대립의 관계를 가진다. 1차적으로 조음방법과 조음위치에 따라 나누고, 2차로 평음, 유기음(격음), 경음(긴장음)으로 나눈다. 3. 모음체계를 3분체계로 하지 않고 2분체계로 하는 타당한 이유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으로 나누는 것보다 크게 전설모음과 후설모음 2개로 나누고 그 안에서 평순모음과 원순모음을 나누는 것이 좋다. 음운체계는 서로 대립적인 체계가 중요한데, 2분체계는 3.. 2018. 9. 30.
자음, 모음 분류 자질 자음 분류 자질 3.1 조음 위치 자질 국어 자음의 조음 위치는 5개이므로(양순, 치조, 경구개, 연구개, 후두), 이론상 최소 3개의 변별적 자질이 필요할 것이나, 구강이 아닌 목구멍에서 조음되는 후음 ㅎ의 경우는 조음 위치에 자질에 대한 논의에서 제외된다. 전방성 설정성 양순 + - 치조 + + 경구개 - + 연구개 - - 설정성: 혀끝을 쓰는가 전방성: 치조를 포함해 그보다 앞에서 조음되는 성질 3.2 조음 방법 자질 국어의 조음 방법에 따른 음소 분류에는 장애와 울림 등과 관련되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과 ‘평음, 경음, 유기음’의 구분도 있다.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을 구분하기 위한 자질로는 [공명성], [지속성], [비음성], [소음성]이 있고, ‘평음,.. 2018. 9. 30.
자음, 모음 주요 분류 자질 자음, 모음, 활음을 구별해 주는 자질인 자음성과 성절성을 주요 분류 자질이라 부른다. · 자음성: 공기가 장애를 받아 나오는 성질 · 성절성: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수 있는 성질 자음성과 성절성의 두 개의 변별적 자질들로는, 최대 4개의 부류를 변별할 수 있다. 그러나 국어에는 이 두 자질이 모두 +인 음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영어에서 자음성과 성절성을 모두 갖는 음소, 곧 독립적으로 음절을 이루는 자음의 예로는 bottle의 l, bottom의 m 등이 있다. ※ 자음 19개, 모음 10개 29개->총 5개의 변별적자질 필요 음소 자음성 성절성 자음 + - 모음 - + 반모음(w,y) - - 유음 + + 자음성: 자음의 성질을 갖고있는가(장애를 가지고있는가) 성절성: 음절을 이룰 수 있는가(홀로 발음.. 2018. 9. 3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