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절: 발화할 수 있는 최소의 단위
cf. 음소: 뜻(의미)를 구별해주는 최소의 단위
언어에 따라 자소단위, 음절 단위가 다르다.
♥ 한국: 하나의 음절이 하나의 글자로 표기
-> 우리는 음절단위로 문자를 센다
♥ Hankuk: 하나의 음절이 여러글자로 표기
♥ 韓國: 하나의 음절이 하나의 글자이자 하나의 단어
2. 한국어의 경우(중성만 있어도 음절을 만들 수 있다)
C: 초성 GVG: 중성(필수적이다) C: 종성
G: 반모음 V: 단모음 C: 자음
V: 아GV: 야, 와VG: 의CV: 가VC: 악CVC: 각CGV:갸GVC: 약, 왁CGVC: 갹, 곽
CVG: 희, 긔
CVGC 븬, 긕
VGC 읨
현실 발음을 고려하면 3개는 잘 나타나지 않음 공통적으로 이중모음 ㅢ가 들어감.
※ '읊다', '없다'의 초성 종성은 2개가 아닌것인가?
-> 그렇다. 글자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소리를 따지는 것이기 때문에읊다[읍따], 없다[업따]로 발음되며 표기는 두개이지만 하나의 자음인 것이다. 또한 ㄲ은 경음이므로 하나의 자음이다.
3. 우리나라는 3분법 체계를 쓰고, 중국은 2분법 체계를 쓴다.
초성, 자음 |
중성, 모음 |
종성, 자음 |
초성, 자음 | 중성, 모음 | 종성, 자음 |
성 운(n,ng) |
4. 음절의 내부구조
초성 중성 종성
⑴ 좌분지: 초성 중성 / 종성
⑵ 우분지: 초성 / 중성 종성
⑶ 평면구조: 초성 중성 종성
좌분지: 두둥실(<-둥실), 철커덕(<-철컥), 덜커덩(<-덜컹) 초성과 중성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초성 중성만 그대로)우분지: 옹기종기(<-종기), 울긋불긋(<-불긋) 중성과 종성이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중성 종성만 그대로)
5. camp 영어: 1음절 캠프 한국어: 2음절 kamupu 일본어: 3음절국어와 달리 일본어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종성에 자음이 올 수 없다.그래서 일본어는 종성을 가진 외국어의 음절을 두 개의 음절로 수용한다.동일한 영어 단어가 국어와 일본어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이와 관련된다.
6. 음절화와 음운현상
-> 음절 종성에 놓인 자음에만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 헝겊[헝겁], 끝도[끋도], 값도[갑도]
7. 음절화와 연음
예) 끝을[끄틀], 끝에[끄테], 값이[갑시]
8. 정리
초성 C -> 18개(ㅇ제외) 중 1개
중성 V, GV, VG
종성 C -> 7개(ㄱ,ㄴ,ㄷ,ㄹ,ㅁ,ㅂ,ㅇ) 중 1개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 > 국어음운론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장(1) 음운현상의 이해 (0) | 2018.12.02 |
---|---|
6장 음운론적 제약 (0) | 2018.12.02 |
퀴즈 (0) | 2018.09.30 |
자음, 모음 분류 자질 (0) | 2018.09.30 |
자음, 모음 주요 분류 자질 (0) | 2018.09.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