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국어음운론강의

퀴즈

by Euiju 2018. 9. 30.
SMALL
1. [도끼]와 발음이 같은 것은? 답: 1, 2, 5

1. 도끼 tok'i

2. 토끼 thok'i

3. 토기 thogi

4. 도기 togi

5. 토키 thokhi

 

t, th, t' -> t

g -> g

k, kh, k' -> k

 

<유성음화 규칙>

유성음 무성음(->유성음) 유성음

 

2. 자음체계에 대해 논하시오.

 

    

 

음운체계는 체계적인 대응과 대립의 관계를 가진다.

1차적으로 조음방법과 조음위치에 따라 나누고, 2차로 평음, 유기음(격음), 경음(긴장음)으로 나눈다.

 

3. 모음체계를 3분체계로 하지 않고 2분체계로 하는 타당한 이유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으로 나누는 것보다 크게 전설모음과 후설모음 2개로 나누고 그 안에서 평순모음과 원순모음을 나누는 것이 좋다.

음운체계는 서로 대립적인 체계가 중요한데, 2분체계는 3분체계보다 설명력이 높으며 모든 것이 체계안에서 타당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체계상으로 균형을 이루며 실제 음운현상에도 잘 맞아떨어진다.

이러한 체계는 대각선으로 이동하지 않고 직각이나 수직 방향으로 체계를 이룬다.

이러한 이유를 뒷받침해주는 예를 살펴보자

먼저, ㅣ모음 역행동화는 2분체계를 따른다. 예를 들어 아기가 애기가 되고, 고기가 괴기가 되는 것이다.

두번째로 전설모음화도 2분체계를 따른다. 전설모음화는 후설모음이 전설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끓이다가 끼리다, 몸이 묌으로, 꿈이 뀜이 되는 것이다.

세번째로 원순모음화도 2분체계를 따른다. 원순모음화는 평순모음이 원순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믈이 물이 되고, 먼지가 몬지가 되고, 보리가 버리가 되는 것이다.

 

LIST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 > 국어음운론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음운론적 제약  (0) 2018.12.02
5장 음절  (0) 2018.10.08
자음, 모음 분류 자질  (0) 2018.09.30
자음, 모음 주요 분류 자질  (0) 2018.09.30
변별적 자질의 성격  (0) 2018.09.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