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국어음운론강의

자음, 모음 주요 분류 자질

by Euiju 2018. 9. 30.
SMALL

자음, 모음, 활음을 구별해 주는 자질인 자음성과 성절성을 주요 분류 자질이라 부른다.
· 자음성: 공기가 장애를 받아 나오는 성질
· 성절성: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수 있는 성질
자음성과 성절성의 두 개의 변별적 자질들로는, 최대 4개의 부류를 변별할 수 있다. 그러나 국어에는 이 두 자질이 모두 +인 음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영어에서 자음성과 성절성을 모두 갖는 음소, 곧 독립적으로 음절을 이루는 자음의 예로는 bottle의 l, bottom의 m 등이 있다.

※ 자음 19개, 모음 10개 29개->총 5개의 변별적자질 필요

음소 자음성 성절성
자음 + -
모음 - +
반모음(w,y) - -
유음 + +

자음성: 자음의 성질을 갖고있는가(장애를 가지고있는가)
성절성: 음절을 이룰 수 있는가(홀로 발음될 수 있는가)

문제1.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주요 분류 자질로 볼 때 자음과 가장 설질이 다른 음소 부류는 무엇인가?
자음의 자질: [+자음성], [-성절성]
따라서, 각각의 자질인 정반대 [-자음성], [+성절성]인 모음이 답

(2) 모음과 활음은 어떤 점이 비슷한가?
[-자음성], 즉 입 안에서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

(3) 자음과 활음은 어떤 점이 비슷한가?
[-성절성], 즉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수 없는 소리

문제2. 다음 물음에 답해 보자.


(1) 국어의 경우 [+자음성]을 가진 부류는 [성절성]에 대하여 반드시 어떤 값을 가지는가?
예외 없이 - 값을 갖는다.

(2) 반대로 [+성절성]을 가진 부류는 [자음성]에 대하여 반드시 어떤 값을 가지는가?
예외 없이 -값을 갖는다.

(3) 이상의 사실로부터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자음성]과 [성절성]은 양립 불가능하다. 즉 장애를 받아나는 소리는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수 없다.

LIST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 > 국어음운론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퀴즈  (0) 2018.09.30
자음, 모음 분류 자질  (0) 2018.09.30
변별적 자질의 성격  (0) 2018.09.30
음운체계 요약  (0) 2018.09.29
3장 운소체계  (0) 2018.09.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