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대조언어학

(7) 어휘 범주별 특성

by Euiju 2022. 1. 24.
SMALL
  1. 들어가기 
  • 단어를 그것들이 가진 고유한 성격에 따라 집합적으로 분류한 것을 어휘범주라고 한다
  • 어휘 범주들을 그것이 갖는 문법적 성질과 해당 언어의 문법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것이 품사이다
  • 형태적 특성, 기능적 특성, 의미적 특성이 품사 분류의 기준이다

 

단어의 의미  명사  대상의 이름을 지칭한다. (
동사  대상의 움직임을 기술한다. (먹다)
단어의 형태/형식 명사 
  1. 복수 표지를 가질 수 있다. (산들)
  2. 특정한 접사를 가질 수 있다. (부모님)
  3. 격표지를 가질 수 있다.(산이, 산을, 산에)
동사 
  1. 주어의 문법적 특성에 의한 일치 현상이 있을 수 있다. (You go, He goes)
  2. 어미의 활용이 있을 수 있다. (가고, 가니, 가서)
단어의 기능  명사  문장 안에서 주어나 목적어의 기능을 한다. (나는 산을 좋아 한다.)
동사  문장 안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한다. (철수가 간다.)



2.                학습자 오류 

  • 영어권 학습자의 오류 
  1. 이 가방은 예쁜이다
  2. 우리 선생님은 아주 친절한입니다
  3. 나는 한국말 공부 열심하고 싶어요
  4. 장미 한 꽃 있어요
(1) (2)는 형용사가 서술어가 되기 위해 be동사가 필요하다. be 동사를이다로 생각해서 탄생한 오류이다
  • 형용사가 서술어로 사용될 때 형용사에 ‘-이다를 넣어 오류를 일으킨다
  • 부사 파생 접미사 ‘-/가 붙는 말은 모두 ‘-하다를 기본형으로 한다고 생각하였다. (명백히-명백하다/깨끗이-깨끗하다)

 

일본어권 학습자의 오류 

  1. 이번 강의는 어려웠지만 중요하는 내용이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2. 일본과 한국의 풍습은 많이 다른다
  3. 저 일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 몇몇 형용사를 동사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한국어와 일본어의, , 용법이 달라를 사용해야 하는 문장에를 사용하기도 한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오류 

  1. 나는 지금 한국 남자와 사귀해요
  2. 모든 사람은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한다
  3. 우리는 기숙사에서 공부도하고 놀도 합니다
  4. 원래 저는 자기 꿈을 성공하고 싶어 한국에 공부하러 왔습니다
  • 명사와 동사를 구별하지 않고 사용한다
  • 한국어 형용사 활용에서 오류를 보이기도 한다
  • 모국어의 간섭으로 동사와 형용사의 활용에 있어서 어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재귀대명사자기를 오용하는 사례가 많다



3.                명사 

  • 명사는 대상의 이름을 지시하며 문장 내에서 주어나 목적어 등의 기능을 하는 말로, 동사와 함께 모든 언어에 존재하는 매우 보편적인 어휘범주이다

   3.1. 일반적 특징  

   3.1.1. 문법성 

  • 문법성은 인도 유럽어족과 아랍어를 비롯하여 아프리카 아시아어족, 드라비다어족, 나이저 콩고어족 등 많은 언어에 나타나는 문법요소이다
  • 문법성 구분에 있어서 아랍어의 남성 대 여성, 네덜란드어의 통성(남성과 여성)대 중성과 같이 이분법을 사용하는 언어도 있고, 독일어와 같이 남성, 여성, 중성의 삼분법을 사용하는 언어도 있다
  • 한국어와 일본어 그리고 터키어나 몽골어와 같은 알타이어족, 헝가리어나 핀란드어와 같은 우랄어족, 중국어와 베트남어, 태국어에는 문법성이 존재하지 않아서 명사의 문법성과 다른 요소의 일치현상이 없다

   3.1.2.  

  • 다른 언어들과는 달리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등의 고립어와 말레이어 등의 몇몇 언어는 복수 표지가 없다. 그래서 이 언어에서는 같은 문장이 단수와 복수의 해석이 모두 가능하다. 언어에서 복수를 나타낼 경우에는 복수를 나타내는 어휘를 사용하거나 같은 단어를 반복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 많은 언어에서는 복수 표지가 존재한다. 유럽 언어드로가 같이 가산 명사, 불가산 명사가 엄격하게 구별되는 언어에서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엄격하고 그에 따른 관사와 형용사, 서술어 일치현상이 나타나지만, 한국어와 일본어는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가 있으나 엄격하게 적용되지는 않는다
  • 사람들, 나무들과 같이 사용될 수 있으나, 숫자와 함께 쓰이면 다섯 사람에서와 같이 복수 접미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 단수와 복수에 따른 서술어의 일치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3.1.3.  

  • 격에 따라 명사의 형태가 변하는 현상은 러시아어를 비롯한 대부분의 슬라브 어파와 힌디어, 루마니아어 등에서 나타난다
  • 영어에는 인칭대명사(I, My, Me)에서는 격변화가 일어나지만 일반명사에서는 격변화가 없다
  • 격에 따른 굴절이 없는 언어들은 대체로 어순이나 부치사 그리고 다른 어휘적 또는 문법적 요소에 의해 격이 표시된다. 영어와 중국어는 어순으로 격을 알 수 있으며, 한국어와 일본어는 어순과 후치사로 격을 알 수 있다

   3.2. 한국어 명사의 특징  

  • 한국어의 명사는 문법성, , 격에서는 뚜렷한 특징이 없다
  • 하지만 유정명서와 무정명사의 차이에 따라 조사의 사용이 달라진다

 

  1. 아이가 엄마에게 안겼다
  2. 아기가 엄마 품에 안겼다
  • 한국어가 다른 언어와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는 의존명사의 존재이다
  • 한국어에서 분류사는 의존명사의 하나로 취급된다. 개별 명사에 의해 결정된다기보다는 지시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어떤 분류사를 사용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의존 명사로 사용되는 분류사 
  1. 차 한 대 
  2. 강아지 두 마리 
  3. 나무 세 그루 
  4. 책 네 권 
  5. 어른 다섯 명 
  • 한국어와 일본어, 중국어, 태국어, 페르시아어, 동남아시아 언어와 중앙아메리카 북부지역의 마야 어군 등이 분류사가 발달한 언어들이다

 

보통명사가 분류사로 사용되는 경우 
  1. 과일 두 상자 
  2. 주스 한 잔 
  3. 다섯 사람 
  • 한국어 명사가 가지는 또 다른 특징은, 아래, , , 와 같은 위치명사가 있다는 것이다
  • 이러한 말들은 인도 유럽 언어에서는 주로 전치사로 나타나지만 한국어에서는명사+위치명사+조사의 구조로 나타난다
  • 위치명사 다음에 조사가 붙어 명사와 동일한 기능 즉, 주어나 목적어가 될 수 있으므로 명사로 취급한다

 

  1. 그 사람 (, , , , 아래) 
  • 한국어의 명사는 기능 면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이 될 수 있고 이때 격조사를 동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명사는 스스로 서술어가 될 수 없고 ‘-이다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서술어가 될 수 있다

 

  1. 꽃이 피었다. (주어)
  2. 나는 꽃을 좋아한다.(목적어)
  3. 이것은 꽃이 아니다. (보어)
  4. 이것은 꽃이다. (서술어

 

   3.3. 다른 언어의 경우 

   3.3.1. 영어 

  • 영어의 명사는 다른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사용된다

 

  1. Birds sing. (주어)
  2. I like birds. (목적어
  3. They became birds. (보어)
  • 영어의 명사는 성이나 격에 따른 형태 변화는 없고 수에 따른 형태의 변화는 있어 단수 형태는 무표, 복수 형태는 -(e)s를 붙인다

 

  1. *There are lots of tree in the mountain. 
  2. There are lots of trees in the mountain. 
  • 명사는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없고, be 동사와 같은 계사에 의해 서술어가 될 수 있다

 

  1. *He a student. 
  2. He is a student. 
  • 영어의 명사는 관사를 동반한다

 

명사구는 관사 또는 지시사, 수량사 등에 의해 선행되어야 한다는 영어의 규칙을 위반하였기 때문에 비문이다
  1. *There is sandwich in the refrigerator. 
  2. *There is a sandwich in refrigerator. 
  3. *I am teacher. 
  • 영어의 명사는 형용사가 수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래와 같이 두에서 수식을 받는다

 

  1. I met a boy who is very tall. 
  2. The house of her dreams is in this town. 

 

   3.3.2. 일본어 

  • 일본어에서는 자립어 중에서 활용이 없고 주어의 기능으 할 수 있는 말을 명사라고 하기 때무에 대명사와 수사가 명사에 포함된다
  • 단어의 의미적 관점에서 대명사와 수사를 독립적인 품사로 설정한 한국어와는 차이가 난다
  • 일본어의 명사에는 실질 명사와 형식 명사가 있는데, 한국어에서의 자립 명사와 의존 명사와 같다
  •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수에 따른 구별은 없고 조사라는 격표지를 갖는다
  • 한국어와 유사하게 유정 명사와 무정 명사의 구분이 있어 유정 명사의 경우는 동사있다[iru]’를 사용하고, 무정명사의 경우있다[aru]’를 사용한다
  • 일본어 명사 역시 스스로 서술어가 될 수 없고 한국어의 ‘-이다에 해당하는 [da], [dearu], [desu]와 결합함으로써 서술어가 될 수 있다
  • 일본어는 분류사가 발달한 언어이다
  1. [인간성]분류사의 경우 名[mei], [nin], [kata]의 세 가지를 사용한다
  2. [동물성]분류사의 경우, 대체로 소와 같이 크 동물에느 [tou], 개나 고양이 등의 작은 동물에는 [hiki], 조류에는 [wa]를 사용한다
  3. [-생물, +형상성]분류사의 경우 모양에 따라 분류사가 달라지는데, 가늘고 긴 모양의 1차원 형상성 분류사로는 本[hon]을 사용한다. 평평하고 넓은 속성을 가지는 2차원 형상성 분류사로는 [mai], [men]등을 사용한다

 

   3.3.3. 중국어 

  • 고립어인 중국어에서는 명사의 성이나 수, 격에 따른 형태의 변화가 없다
  • 영어의 계사 be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국어에는 [shi]가 있다
  • 명사가 서술어로 사용되는 경우 [shi]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날짜나 요일, 날씨 등과 같은 경우에는 생략이 가능하다
  • 한국어와 달리 중국어는 분류사가 발달하였다
  1. 중국어에서 [인간성] 분류사로는 [ming], [ge], [wei]등이 있다. [ming]은 학생, 군인 회사원 등 특정 신분을 가진 경우에 사용하고 대부분의 경우 [ge]를 사용한다. [wei]는 존경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동물성] 분류사의 경우 한국어의마리와 같은 동물에 대한 보편적 분류사는 없고 동물의 종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사용한다. 고양이, 개 그리고 조류 등 비교적 작은 동물에는 [zhi], 머리가 큰 동물에는 [tou] 말과 같이 짐을 지을 수 있는 동물에는 [pi] 어류에는 [tiao], [wei]를 사용한다
  3. 한국어에는 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과 같이 운송 교통수단의 사물에 대한 분류사가 있으나 중국어에는 통칭의 분류사가 없다. 중국어는 자동차에는 [tai], [liang], 비행기에는 [jia], 기차에는 [lie]를 각기 다르게 사용한다

 

4.                인칭대명사 

    4.1. 일반적 특징 

  • 인칭대명사는 일반적으로 인칭과 수에 따른 변화가 있다. 인칭은 거의 모든 언어에서 1, 2, 3 인칭의 3개로 구분한다
  • 인칭대명사는 겸양이나 높임과도 관련이 있다
  • 동양의 언어에서는 대화 참여자 사이의 상하의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위아래와 관계없는 존대법이 존재하는 언어도 있다

   4.2. 한국어 인칭대명사의 특징 

  • 한국어의 인칭대명사도 원칙적으로는 인칭과 수에 따른 구분이 있어 3개의 인칭이 존재하고, 수에서는 단수와 복수가 있다
  • 한국어와 일본어는 인칭대명사가 발달하지 않은 언어 중의 하나이다
  • 한국어에는 단일어로서의 3인칭대명사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라는 단일어가 존재하지만, 아직까지는 문어에서만 사용된다. 구어에서는그 사람, 그 남자, 그 여자등과 같이지시관형사+명사의 형태로 사용된다
  • 구어에서는 3인칭대명사로, , , 이분, 그분, 저분을 많이 사용한다
  1. ?여고 동창회에서는 그녀들만의 이야기로 꽃을 피운다
  2. 여고 동창회에서는 그들만의 이야기로 꽃을 피운다
  3. ?/그녀 웃기지 않아? 나는 그/그녀 별로 안 좋아해
  4. 그 남자/여자 웃기지 않아? 나는 그 남자/여자/ 별로 안 좋아해

 

  1. 우리 아버지는 시골에서 태어나셨습니다. 가난한 시골 농부의 아들 태어난 (?/?그분/우리 아버지)는 어렸을 때부터 효자였습니다
  • 저희 1인칭 복수인우리의 겸양칭이기는 하지만 포함의 정도가 서로 달라, ‘우리는 청자를 포함할 수 있지만, ‘저희는 청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4.3. 다른 언어의 경우 

   4.3.1. 영어 

  • 영어의 인칭대명사는 격에 따라 굴절을 한다
  • 양수 없이 단수와 복수로만 이루어져 있다
  • 3인칭 단수의 경우 성에 따른 구분이 있다
  • 1인칭 복수의 경우 청자 포함 또는 불포함의 구분이 없다
  • 여러 언어에서 볼 수 있는 겸양어나 높임말은 없다

 

   4.3.2. 일본어 

  • 양수 없이 단수와 복수로만 이루어져 있다
  • 3인칭 단수는 물론 복수에도 성에 따른 구분이 있다
  • 1인칭 복수의 경우 청자 포함 또는 불포함의 구분이 없다
  • 1인칭의 경우 한국어와 같이 평칭과 겸양칭이 있으며, 2인칭의 경우 존칭이 있다
  • 한국어와 달리 그, 그녀를 잘 사용한다

 

   4.3.3. 중국어 

  • 양수 없이 단수와 복수로만 이루어져 있다
  • 3인칭 단수는 물론 복수에도 성에 따른 구분이 있다
  • 1인칭 복수의 경우 청자 포함 또는 불포함의 구분이 없다
  • 2인칭 단수의 경우 부모나 가까운 친척 어른에게는 [ni]를 쓸 수 있으나, 2인칭 존칭 [nin]이 있어 모르는 사람이나 나이가 많은 사람, 그리고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사용한다
  • 한국어와 달리 그, 그녀를 잘 사용한다

 

중국어에는 재귀대명사로 1인칭에자기를 쓰는데 이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은 아래와 같이 오류를 빈번하게 일으킨다. 한국어에서 1인칭 재귀대명사는이고자기 3인칭에 사용된다
  1. 제가 회사에 입사하려는 동기는 *자기(제가) 좋아하는 일이라서 하는 겁니다
  2. 나는 재학동안(학교 다니는 동안) *자기(저의) 대학 잡지의 영어판 편집장이었다
  3. 나는 다시 한 번 *자기(자신)에게 스스로 물어보았다



5.                동사 

  • 동사는 대상의 움직임을 나타내며 문장 내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명사와 함께 모든 언어에 존재하는 매우 보편적인 어휘 범주이다
  • 어미가 붙으면서 형태가 바뀐다

   5.1. 일반적 특징 

  • 언어에 따라서는 인칭이 동사에 표시되는 것들이 있다
  • 수에 따른 동사의 일치현상을 보이는 언어가 있다
  • 시제가 동사에 문법적으로 표현되는 언어가 있다
  • 상은 시제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행위의 시작, 진행, 완료 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 언어 중에는 동사의 하위부류로 조동사(ex. can)를 두는 경우가 있는데, 인도 유럽어족이 그 대표적인 예시이다

 

   5.2. 한국어 동사의 특징 

  • 한국어 동사는 기본형으로 ‘-를 갖는다. 시제와 상, 서법, 태에 따른 동사 형태의 변화는 있지만, 인칭과 수에 따른 동사 형태의 변화는 없다
  • 영어의 조동사와 같은 보조동사가 있다. 보조동사의 의미를 본다면, 진행, 종결, 시혜, 시행, 사동, 피동, 부정, 당위 등 매우 다양하다. 어순은 영어와 반대로 본동사 다음에 보조동사가 온다
  • 동사는 어간과 어미로 구성되며, 음운론적 환경에 의한 탈락을 제외하고 반드시 두 성분 모두 존재해야 한다.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른 높임법이나 화자의 의지나 추측 등의 양태표현, 사동표현, 피동표현 그리고 부정표현 등 많은 문법 표현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 잡아먹다와 같은 연쇄동사 구문을 들 수 있다

 

   5.3. 다른 언어의 경우 

   5.3.1. 영어 

  • 영어에서 be동사는 주어의 수에 따라, 그리고 시제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한다
  • 일반동사는 시제에서만 형태의 변화가 나타난다
  • 3인칭 단수 현재형에 한해서 주어의 인칭에 따른 동사 변화가 있다
  • 시제는 기본형 자체가 현재형으로 사용되고, 과거형은 동사의 형태 변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데 반해, 미래형은 조동사 또는 be going to와 같은 구 동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 상이나 법, 태는 조동사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 현재분사나 과거분사와 같은 분사형을 갖는다
  • 연결사의 역할을 하는 to를 이용하여 부정사 문장을 이룬다

 

   5.3.2. 일본어 

  1. 한국어와 일본어 동사의 공통점 
  • 자립어이다. 따라서 문장에서 홀로 쓰일 수 있다
  • 기본형을 갖는다
  • 용언의 일종으로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있다

2.                한국어와 일본어 동사의 차이점 

  • 한국어는어간+어미로 구성되지만, 일본어는어간+어미+조동사(조사)’의 구성을 갖는다
  • 한국어 어미는 그 자체가 다양한 의미와 문법적 기능을 가지고 활용을 하지만, 일본어의 어미 활용은 의미에 의한 것이 아니라, 뒤에 오는 조동사나 조사에 따라 6가지 활용형으로 나타나고, 한국어의 어미와 같은 기능은 조동사나 조사가 한다
  • 일본어의 동사는 특별히 화자와 청자의 관계, 또는 거기에 더하여 제3자의 관계까지 더하여 경어법을 나타내는 것이 매우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3.                일본어의 조동사 특징 

  • 부속어로 단독으로 문절을 만들 수 없으나 활용이 있다
  • 주로 용언에 접속하여 뜻을 첨가하거나 화자의 판단을 분명히 한다
  • 자립어와 접속하여 그 뜻을 첨가한다

 

   5.3.3. 중국어 

  • 중국어 동사의 형태는 변화가 없으며, 더욱이 굴절을 하지 않아 어미나 접사도 존재하지 않는다
  • 중국어에는 영어의 조동사에 해당하는 동사 즉, 능원동사가 존재한다. 이는 가능, 허가, 소망, 의지, 필요, 당우 등의 의미를 가진다



6.                형용사 

  • 사람과 사물의 속성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는 모든 언어는 아니지만 많은 언어에 존재한다. 형용사는 문장 내에서 수식 또는 서술의 기능을 한다

    6.1. 일반적 특징 

  • 형용사는 전형적으로 속성의 개념을 표시하는 말이다
  • 형용사는 품사 분류 기준의 하나인 의미적 관점에서 볼 때 명사적 속성과 동사적 속성을 공유한다
  • 형용사는 언어에 따라 열린 부류일 수도 있고 닫힌 부류일 수도 있다

 

   6.2. 한국어 형용사의 특징 

  • 한국어는 형용사가 동사적 성격을 갖는 형용사 동사 언어이다
  • 한국어에서는 형용사가 동사와 같이 용언에 속한다 
  • 계사+형용사구문이 존재하지 않는다
  • 형용사는 명령형과 청유형이 존재하지 않고, 현재형 어미 ‘-는다가 붙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동사와 다른 점이다

한국어 형용사의 동사적 특징 

  1. 형용사 어휘와 동사 어휘가 동형어 관계에 놓이기도 한다. (쓰다, 달다, 차다, 되다)
  2. 하나의 어휘가 정태적 속성을 나타내는 형용사적 의미와 함께 동사적 의미를 지니는 다의어로 존재할 수 있다. (밝다/밝는다, 늦다/늦는다, 늙다/늙는다)
  3. 불완전동사가 존재하는 것과 평행하게 불완전형용사들도 존재한다. (약아 빠지다에서 빠지다는 과거형으로만 쓰인다.)
  4. 의미적으로 동일한 내용을 동사 범주 어휘를 통해서도 나타낼 수 있고 형용사 범주 어휘를 통해서도 나타낼 수 있다. (모자라다(동사) = 부족하다(형용사))

 

   6.3. 다른 언어의 경우 

   6.3.1. 영어 

  • 동사와 달리 주어의 수나 시제에 따른 형태의 변화가 없지만, 정도의 차이를 나타낼 때는 비교급 -er, 최상급 -est의 형태 변화가 있다
  • 형용사는 수식 기능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나 그 자체로 서술어가 될 수 없다
  • 영어의 형용사는 열린 부류에 속하여 새로운 어휘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다

 

   6.3.2. 일본어 

  • 일본어의 형용사와 형용동사는 형용사 동사 언어의 성격을 가져 독자적으로 서술 기능을 가지며, 활용을 한다는 점에서 한국어의 형용사와 유사하다
  • 명사를 수식할 경우 한국어의 형용사는 관형사형 전성어미를 갖지만 일본어의 형용사는 기본형의 어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 열린 부류로 새로운 어휘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다

 

   6.3.3. 중국어 

  • 한정 용법의 명사 수식 기능과 서술 용법으로 명사에 대한 서술 기능을 갖고 있으며, 한국어와 같이 열린 부류로 목록이 개방되어 있다
  • 한국어와 유사하게 형용사 범주와 동사 범주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 한국어와 같이 형용사가 동사적 성격을 가진다
  • 중국어 형용사도 명사 앞에 놓여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는다
  • 중국어는 한국어와 달리 활용이 없는 고립어적 특성 때문에 형태 변화 없이 명사, 동사 또는 부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형용사가 문장에서 접사화에 의한 형태 변화 없이 다른 품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중국어의 형용사도 문장에서 서술어로 사용된다

 

 

LIST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 >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4) 모음체계, 자음체계 대조  (0) 2022.01.24
(5) 음절  (0) 2022.01.24
(8) 단어형성법  (0) 2022.01.24
(13) 표현 및 담화  (0) 2022.01.24
(6) 음운현상  (0) 2022.01.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