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태소의 분류
실질적 의미 유무
어휘/실질형태소: 명사, 동사와 같이 단어라고 명명하는 것들
문법/형식형태소: 접사, 어미, 조사(단어)
자립성 유무
자립형태소
의존형태소: 어간, 어미, 조사, 접사 등
기능 (교재 208p)
굴절형태소/굴절접사-어미?
파생형태소/파생접사
⇒ 굴절이 있는 언어는 반드시 파생이 존재(Greenberg, 1963)
⇒ 한국어와 일본어는 조사, 어미 발달로 굴절형태소가 많고 영어는 로망스어나 유럽어에 비
해 굴절형태소가 적은 편
▣ 접사
의미나 기능에 따라 접미사/접두사가 결정되는 범언어적 규칙X
⇒ 한 언어에서는 접미사가 다른 언어에서는 접두사O
접미사가 더 보편적이며 많은 언어들이 접요사, 접환사 없이 접두-접미사만 존재
▣ 파생
단일어, 합성어, 파생어
▣ 굴절
한국어: 먹+는(관형형), 먹+고(연결형)
러시아어: 격
영어: 수,격(명사) 시제,인칭(동사) 비교급(형용사) 상(조동사)에 따른 굴절
▣ 파생
1차파생: 어근이 의존형태소(re-ceive, 아름-답다)
2차파생: 어근이 자립형태소(act-ive, 청소-하다)
품사유지파생(짓밟다), 품사변화파생(먹이)-219p
① 한국어의 파생
- 접두파생은 제한적이어서 명사, 동사, 형용사에만 존재
- 접두사는 어휘적 접사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품사를 바꾸지 못함(예외: 마르다-메마르다)
- 접두사가 형태를 바꾸는 경우(애호박, 앳되다)
- 접미파생은 생산성이 높아 광범위하게 존재
- 접미파생은 어휘적 접사(멋-쟁이)가 붙는 경우, 통사적 접사(넓-이)가 붙는 경우도 있음
② 영어의 파생
- 접두파생에도 품사 바꾸는 경우 있음(en-courage)
- 파생접미사가 많으며 대부분 품사를 바꿈
- 접사 없이 품사 바뀌는 경우가 있음(water, free, permit, (the) rich)
- 파생접사가 모두 결합한 후에 굴절접사는 마지막에 한 번만 결합 (re-write-er-‘s)
③ 일본어의 파생
- 대부분 한자어 접두사에 의한 파생
- 접미사 파생은 어휘적 파생, 통사적 파생이 있으며 통사적 파생 중 동사에서 유래한 파생명사는 별도의 파생접미사 없이 활용형 중 하나인 연용형의 형태가 그대로 파생명사
▣ 합성
- 둘 이상이 기존 어휘형태소(어근)를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
- 언어보편적 관점에서 주로 명사, 동사, 형용사로 구성
- 한국어의 경우 관형사, 부사, 감탄사도 합성어를 이루며 품사도 다양
- 명사+명사 합성어: 게르만어/한국어, 일본어는 왼쪽으로 가지를 치는 언어, 로망어는 오른쪽으로 가지를 치는 언어
- 동사+명사 합성어: VO어순 언어는 동사+명사가 자연스러우나 OV어순 언어는 동사를 관형사형이나 명사형으로 바꾼 후 결합
① 한국어의 합성
- 다양한 구성 방법(합성명사, 합성대명사, 합성수사, 합성동사, 합성형용사)
-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② 영어의 합성
- 합성명사, 합성동사, 합성형용사가 주를 이룸
- 합성어의 제1강세는 첫음절
- 합성어의 경우 발음이 달라지는 것이 원칙
- 합성어의 구성요소는 고정
- 주어+동사, 동사+목적어, 명사+전치사구, 현재분사+명사, 동사+부사(어), 동사가 생략된 복합어
-
③ 일본어의 합성
- 동사와 형용사가 다른 성분보다 앞에 위치할 때는 동사는 조동사가 붙는 연용형으로만
- 합성어의 품사는 우측핵 규칙에 따라 가장 오른쪽에 있는 성분
- 탁음화하는 경우가 있음
- 전음 현상에 의해 합성어의앞 성분 어말 모음이 달라지기도
- 첩어 구성(명사, 형용사, 동사반복, 많은 수량, 의미 강조 표현)
▣ 단어 구조의 대조
① 통합성에 따른 분류
- 요소가 접사로 존재하는 언어(한국어) vs 단어로 따로 존재하는 언어(중국어)
- 통합의 정도에 따라 구분(고립어, 통합어, 포합어)
▪ 고립어의 특징
- 완벽한 고립어 X
- 어순 고정
- 복잡한 음조 체계(성조)
- 연결소 없이 연속동사 구성 가능
▪ 포합어의 특징
- 완벽한 포합어 X
- 다양한 종류의 접사
- 문법적으로 복잡한 일치 체계
② 융합성에 따른 분류
- 형태소의 분리 용이 정도에 따라 교착적인 통합어(교착어: 한국어), 융합적인 통합어(스페인어)로 분류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 >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4) 모음체계, 자음체계 대조 (0) | 2022.01.24 |
---|---|
(5) 음절 (0) | 2022.01.24 |
(7) 어휘 범주별 특성 (0) | 2022.01.24 |
(13) 표현 및 담화 (0) | 2022.01.24 |
(6) 음운현상 (0) | 2022.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