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운소체계
장단 대부분의 중부 방언 및 전라 방언에서 모음의 장단은 단어의 뜻을 구별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운소로 존재한다. ex) 말:(言) / 말(馬), 벌:(蜂) / 벌(罰), 눈:(눈) / 눈(眼), 밤:(栗) / 밤(夜) 살:고, 살:면, 살아 피+어 → 피어, 피여, 펴: 비비+어 → 비벼 한편 모음의 장단 대립은 모든 위치에서 가능한 것은 아니다. 국어의 장모음은 원칙적으로 어두 음절에만 올 수 있다. 장모음이 비어두 음절에 놓이면 단모음으로 바뀐다. ex) 말:(言) ➝ 거짓말, 눈:(눈) ➝ 함박눈, 밤:(栗) ➝ 햇밤 문제2. 다음에 제시된 단어가 비어두에 놓이는 경우를 찾아서 장모음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살펴보자. 많:다, 돌:(石), 벌:(蜂), 밟:다 -> 수많은 사람들, 부싯돌, 말벌, 짓밟다..
2018. 9. 29.
모음체계(단모음)
국어 모음의 특징 ① 모음은 공기가 입 안에서 어떤 장애도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 ② 자음에 비해 훨씬 울림도가 큼 (⇒모음은 모두 공명음/유성음) ③ 자음과 달리 모음은 혼자서도 자립해서 음절을 이룰 수 있다. 단모음과 이중모음 ① 단모음: 발음할 때 입모양의 변화 없이 발음 지속 ② 이중모음: 발음할 때 입모양이 바뀌며 발음됨, 활음과 단모음이 결합한 형태를 보인다. 단모음 체계 2.1.1 단모음의 수 표준국어문법을 기준으로는 ‘ㅏ,ㅐ,ㅓ,ㅔ,ㅗ,ㅚ,ㅜ,ㅟ,ㅡ,ㅣ’의 10개 but 'ㅚ(ö)‘와 ’ㅟ(ü)‘의 경우는 각각 'wε'와 ’wi'처럼 이중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이 때의 단모음은 8개라 볼 수 있다. 한편 각 지역 방언에 따라 실현되는 단모음 개수가 달라지는데, 많은 이들이 ‘ㅔ’와 ..
2018.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