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체계
- 국어 자음의 특징
① 자음은 공기가 입 안에서 장애(마찰, 폐쇄 등)을 받아 발생하는 소리
② 국어의 자음은 홀로 발음될 수 없고, 따라서 스스로 음절을 이룰 수 없다.
- 국어 자음의 분류 기준
① 조음 방법 - 장애가 만들어지는 방법(어떻게?)
② 조음 위치 - 장애가 일어나는 위치(어디에?)
자음의 조음 방법
1.1.1 파열음
: 특정 조음 위치에서 ‘폐쇄-지속-파열’의 3단계 거침
국어의 파열음에는 ‘ㅂ/ㅍ/ㅃ’, ‘ㄷ/ㅌ/ㄸ’, ‘ㄱ/ㅋ/ㄲ'의 세 부류가 있고, 각각의 조음 위치가 다 다르다.
1.1.2. 마찰음
: 좁은 틈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마찰이 일어나 발음되는 자음
발음되는 동안 공깃길이 계속 열려 있어 흐름이 끊어져서는 안된다. 국어의 마찰음에는 ‘ㅅ/ㅆ'과 ’ㅎ'이 있다.
cf) 마찰음은 음절말에 올 수 없다.
옷이[오시], 옷도[옫도→오또]
1.1.3. 파찰음
: '폐쇄-지속‘의 과정을 거치면서 공기의 압력이 높아졌을 때 ’파열‘ 대신 ’마찰‘의 과정 거치는 자음, 앞부분은 파열음과 비슷하고, 뒷부분은 마찰음과 비슷. 국어의 파찰음에는 ‘ㅈ/ㅊ/ㅉ’이 있다.
1.1.4. 비음
: '폐쇄-지속-파열‘ 과정은 파열음과 동일하나 ‘폐쇄-지속’ 단계는 구강에서, ‘파열’ 단계에서는 공기가 비강을 통해 나오며, 소리를 내는 점이 다르다.
국어의 비음에는 ‘ㅁ, ㄴ, ㅇ’이 있다.
문제3. 다음에 짝지어진 두 음절을 반복해서 발음해 보자.
(가) 암 : 압 (나) 안 : 앋 (다) 앙 : 악
(1) 비음성의 유무 외에 어떤 차이가 느껴지는가?
⇒ 전자는 음절이 지속해서 발음되고, 후자는 할 수 없다.
(2) 그 차이는 왜 생기는지 생각해 보자.
⇒ 파열음은 폐쇄 이후 그 상태를 지속할 수 있지만, 비음은 폐쇄 이후 공기가 비강으로 세어나가 버리고, 손을 써서 코를 막지 않는 한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음절말 파열음은 폐쇄 상태로 터지지 않은 채 발음이 지속되지 않지만 음절말 비음은 공기가 세어나가 발음이 지속된다.
※ ‘ㅇ’의 이중성
한글의 자음자 중 ‘ㅇ’은 이중적인 음가를 지닌다. ‘ㅇ’은 음절의 초성에 쓰이면 아무런 음가를 지니지 않지만 음절의 종성에 쓰이면 연구개 비음을 표시한다. 음소로서 ‘ㅇ’을 지칭할 때에는 당연히 연구개 비음을 가리킨다. 한편 이 책에서 단모음을 나타날 때에는 반드시 음가가 없는 ‘ㅇ’을 붙여 ‘아, 어, 오, 우’와 같이 표시한다.
1.1.5. 유음
: 공기가 구강에서 장애를 별로 받지 않고 흘러나오는 소리
① 설측음 - 혀끝이 구강의 중앙 부분을 막아 공기가 양 옆으로 흐름
② 탄설음 - 혀끝이 구강의 한 부분을 살짝 건드리고 떨어져 공기가 중앙으로 흐름
국어의 유음은 설측음과 탄설음으로 발음되는 소리가 모두 ‘ㄹ’의 변이음에 해당
※국어의 자음이 발음될 때 울림도의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기면 유음>비음>장애음 순이다.
이 중 유음과 비음의 울림이 크다 하여 둘을 한데 묶어 공명음이라 한다.
문제4. 다음 기준에 따라 자음의 조음 방법을 분류해 보자.
(1) 공기가 비강으로 흐르는 것 ⟶ 비음
(2) 공기가 폐쇄되는 과정이 있는 것 ⟶ 파열음, 파찰음, 비음
(3) 울림이 큰 것과 작은 것 ⟶ 전자: 공명음(유음, 비음), 후자: 장애음
문제5. 다음에서 설명하는 특성을 지닌 음소를 찾아보자.
(1) 울림이 크며, 구강으로만 공기가 흐르는 음소 ⟶ ㄹ
(2) 폐쇄의 단계를 거치지만 파열되지 않고 마찰을 일으키는 음소
⟶ 파찰음 ㅈ, ㅊ, ㅉ
(3) 공기가 중간에 끊어지지 않으며 마찰을 동반하는 음소
⟶ 마찰음 ㅅ, ㅆ, ㅎ
(4) ‘폐쇄-지속-파열’의 단계를 거쳐 발음되는 음소
⟶ 파열음 ㅂ, ㄷ, ㄱ 계열 평음, 된소리, 거센소리 / 비음 ㅁ, ㄴ, ㅇ
자음의 조음 위치
1.2.1. 양순음
: 두 입술을 이용하여 내는 소리, 국어에는 양순 파열음(ㅂ,ㅍ,ㅃ)과 양순 비음(ㅁ)이 있다.
여기서 입술을 폐쇄 전개에 관여한다.
1.2.2. 치조음
: 혀 끝이 윗니 뒤의 치조 부분에 닿거나 근접해 발음되는 소리.
국어에는 치조 파열음(ㄷ,ㅌ,ㄸ), 치조 마찰음(ㅅ,ㅆ), 치조 비음(ㄴ), 치조 유음(ㄹ)이 있다.
1.2.3. 경구개음
: 혀의 앞부분이 치조 뒤 단단한 입천장에 닿아서 나는 소리.
국어에는 경구개 파찰음(ㅈ,ㅉ,ㅊ)이 있다.
1.2.4. 연구개음
: 혀의 윗부분이 경구개 뒤에 위치한 부드러운 입천장에 닿아서 나는 소리.
국어에는 연구개 파열음(ㄱ,ㅋ,ㄲ), 연구개 비음(ㅇ)이 있다.
1.2.5. 후두음
: 성대 사이의 후두에서 나는 소리. 국어에는 후두 마찰음(ㅎ)이 있다.
문제 8. 자음의 다섯 가지 조음 위치 중 혀가 조음체로 기능하는 것을 모두 골라 보자.
⇒ 치조, 경구개, 연구개
문제 9. 다음 자료를 보고 물음에 답해 보자.
손 + 만 → 솜만, 손 + 보다 → 솜보다, 손 + 과 → 송과
(1) 어떤 자음이 어떤 자음으로 바뀌엇는지 정리해 보자.
⇒ 치조비음인 'ㄴ'이 각각 양순비음인 'ㅁ'과 연구개비음인 'ㅇ'으로 발음됨
(2) 이러한 변화가 후행하는 자음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생각해 보자.
⇒ 조음 방식은 그대로 비음을 유지하고, 후행하는 자음의 조음위치를 닮아서
각각 양순음과 연구개음이 되었다.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 > 국어음운론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음체계(이중모음) (0) | 2018.09.29 |
---|---|
모음체계(단모음) (0) | 2018.09.29 |
자음체계(문제풀이) (0) | 2018.09.29 |
1장 음운과 변이음/변이음 (0) | 2018.09.29 |
1장 음운과 변이음/음운 (0) | 2018.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