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국어음운론강의

1장 음운과 변이음/음운

by Euiju 2018. 9. 29.
SMALL

음운이란? 발음의 차원에서 단어의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의 단위
ex) 물/불: ‘물’과 ‘불’은 ‘ㅜ + ㄹ’이 공통적이지만 첫머리에 오는 ‘ㅁ’과 ‘ㅂ’에 의해 그 뜻이 구별되고 더 이상 나눌 수 없으므로 ‘ㅁ’과 ‘ㅂ’은 음운

음운과 최소대립쌍

최소대립쌍이란 음운의 개수는 같되 하나의 음운만 차이가 남으로써 그 뜻이 구별되는 단어 묶음이다. 최소대립쌍에서 구분되는 두 개의 소리는 모두
별개의 음운이 되므로 음운을 판단할 때 편리하다.
ex) '물:불‘, ’서리:허리‘, ’마음:마을‘ 등
cf. 어름:여름 → 최소대립쌍 x
why? 'ㅕ(yeo)'는 이중모음(y+eo)으로 실제적으로 두 개의 음운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어름’과 ‘여름’은 음운의 개수가 다르다.

(2) 최소대립쌍이 찾아지지 않는 것은 어떤 경우인가? 그 이유를 생각해 보자.
① 어두 ㄹ:ㄴ →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우 두음법칙으로 인해 어두에서는 ‘ㄹ’이 발음되지 않는다. 한편 ‘라면, 라디오, 리본’처럼 ‘ㄹ’이 어두에서 발음되는 외래어들은 사실상 최소대립쌍을 찾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어두 ㄹ:ㄴ은 최소대립쌍이 찾아지지 않는다.
② ㅎ:ㅇ → ‘ㅎ’은 초성에서만 발음된다. ‘낳다, 쌓다’ 등의 경우도 발음에 있어서는 받침이 ‘ㄷ' 소리로 대체되고, ‘ㅎ’ 소리의 특징은 뒤의 음절초로 전이되어버린다. [낟타, 싿타] 반면 ‘ㅇ’은 종성에서만 음가가 존재하고, 초성에는 소릿값이 없으므로 모음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소리 ‘ㅎ’과 ‘ㅇ’은 출현환경이 겹치지 않아 최소대립쌍이 존재할 수 없다.

∴ 길잡이
두 음운에 의한 최소대립쌍은 두 음운의 출현환경이 일치해야 하며, 두 음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같아야 한다. 만약 두 음운이 나타나는 환경이 겹치지 않는다면, 최소대립쌍은 존재할 수 없다.

 

음운과 음성의 차이점

날(nal), 나라(nara)의 차이는 음성적 차이이다.
이처럼 국어와 달리 영어에서는 'r'과 'l'이 별개의 음운이다. 동일한 소리라고 하더라도 한 언어에서는 음성에 불과한 것들이 다른 언어에서는 음운이 될 수 있다.

음운의 구성

음운은 음소와 운소로 구성
음운: 음소 +운소
음소: 자음, 모음, 활음(y,w)
운소: 장단, 고저(=성조), 억양

 

음소의 특징 (홀로 소리를 낼 수 있냐? / 장애가 있느냐 없느냐?)

음소는 발화체로부터 계기적으로 분석될 수 있어 분절음이라고도 한다.
① 자음: 자음은 홀로 발음되지 못하고 모음에 의지해서 발음되며, 그 때문에 ‘닿소리’라고도 한다. 또한 공기가 방해를 받는다.
② (단)모음: 모음은 홀로 발음될 수 있어 홀소리라고도 한다. 공기의 방해를 받지 않는다.
③ 활음: 미끄러져가는 특성이 있다하여 붙은 이름으로 모음과 비슷하지만 독립해서 발음할 수 없다는 점에서 자음과 비슷한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그 때문에 반모음이라 불리기도 한다. 활음은 단모음과 결합하여 이중모음을 이룬다.

이중모음: 활음 + 단모음
‘ㅑ(ya)'를 길게 발음하면 ’ㅏ(a)'로 끝남
⇒ 처음에 발음되는 소리 ‘y’가 활음으로 한글에서는 모음 ‘ㅣ’와 비슷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보나 모음 ‘ㅣ’와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ㅘ(wa)’를 길게 발음하면 ‘ㅏ(a)'로 끝남
⇒ 처음에 발음되는 소리 ‘w'가 활음으로 한글에서는 모음 ’ㅗ,ㅜ‘ 등과 비슷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보나 모음 ’ㅗ,ㅜ‘와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문제2> 다음 이중모음을 천천히 발음한 후 물음에 답해 보자.

(가) 야, 여, 요, 유
(나) 와, 워, 왜, 웨

 

(1) 활음이 단모음보다 앞에 오는지 뒤에 오는지 살펴보자. 앞

(2) (가), (나)에 제시된 활음의 음성적 특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관찰해보자.
(가)의 활음은 발음될 때 입술이 옆으로 넓게 퍼지고 혀가 앞으로 조금 나옴
(나)의 활음은 발음될 때입술이 동그랗게 오므라든다.

(3) (2)의 관찰을 토대로 (가), (나)의 활음은 어떤 단모음과 유사한지 비교해보자.
(가) ‘ㅣ’ (나) ‘ㅗ’ (양성모음과 결합 시), ‘ㅜ’ (음성모음과 결합 시)


운소의 특징

운소는 발화체로부터 계기적으로 분석해 낼 수 없어 초분절음이라고도 한다. 국어의 운소에는 장단, 고저, 억양이 있다. 이 요소들에 따라 의미가 구별될 수 있으므로 운소도 음운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 운소는 분절음(음소) 연쇄에 얹혀 그와 함께 실현되기 때문에 발화체에서 따로 분리할 수 없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음운에 해당하는 것은 음소를 지칭하는 것이고, 여기서도 ‘음운’ 대신 ‘음소’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