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국어음운론강의

자음체계(문제풀이)

by Euiju 2018. 9. 29.
SMALL
<문제1> 자음의 음운론적 명칭은 ‘조음위치-조음방법’의 순으로 이름을 붙이면 된다. 

 

가령 ‘ㄱ’은 연구개 평파열음, ‘ㅈ’은 경구개 평파찰음, ‘ㄴ’은 치조 비음이 된다. 이 사실을 고려하여 다음 자음의 음운론적 명칭을 괄호 속에 넣어 보자.

(1) ㅅ/ㅆ [ 치조 마찰음 ]

(2) ㅇ [ 연구개 비음 ]

(3) ㄹ [ 치조 유음 ]

(4) ㅊ [ 경구개 유기파찰음 ]

(5) ㄱ/ㅋ/ㄲ [ 연구개 파열음]

(7) ㅍ [ 양순 유기파열음 ]

 

<문제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음소들을 찾아보자.

 

(1) 조음 위치가 비슷한 파열음과 마찰음의 연쇄를 한 음소로 빨리 발음하는 것과 흡사한 소리.

  ㅈ/ㅊ/ㅉ (파찰음)

(2) 혀의 끝부분이 치조에 닿으며 비강으로 공기가 흐르는 소리.

  ㄴ (치조 비음)

(3) ‘ㄷ’과 조음 위치는 같지만 마찰을 일으키면서 발음되는 소리.

  ㅅ/ㅆ (치조 마찰음)

(4) ‘ㅂ’을 발음할 때와 비슷하되 공기가 비강으로 흐르는 소리.

  ㅁ (양순 비음)

 

<문제3> 다음 자료를 보고 물음에 답해 보자.

(가) 달 + 나라 → 달라라, 칼 + 날 → 칼랄, 물 + 놀이 → 물로리

(나) 국 + 물 → 궁물, 밥 + 만 → 밤만, 듣 +는 → 든는

 

(1) (가), (나)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정리한 후 주위의 음에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닌지 살펴보자.

 (가): 두 번째 음절의 초성 ‘ㄴ’이 첫 음절의 종성 ‘ㄹ’의 영향을 받아 ‘ㄹ’로 변했다. ‘ㄹ’은 치조 유음이고,  ‘ㄴ’은 치조 비음이므로, ‘ㄴ’이 ‘ㄹ’로 변한 것은 조음 위치는 그대로 치조이지만 조음 방법만 비음에서 유음으로 변했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이런 현상을 ‘유음화’라 부를 수 있다.

 (나): 모두 첫 음절의 종성이 두 번째 음절 초성의 영향으로 소리가 변했다. 첫 음절의 종성 ‘ㄱ’,‘ㅂ’, ‘ㄷ’은 각각 연구개 파열음, 양순 파열음, 치조 파열음이다. 두 번째 음절 초성 ‘ㅁ’, ‘ㄴ’은 각각 양순 비음, 치조 비음이다. 이 변화에서 역시 조음 위치는 그대로고 조음 방법만 파열음에서 비음으로 바뀐 것이 확인 된다. 따라서 이런 현상을 ‘비음화’라 부를 수 있다.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