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전체 글44

9장 기저형 9장. 기저형1.1. 기저형의 개념기저형 ->(도출) 표면형: 기저형이 표면형으로 실현되는 음운규칙이다. 기저형이 표면형으로 도출될 때는 음운규칙이 적용된다. ※ 우리나라는 기저형을 밝혀쓴다바치 널따 바ㅊ 너ㄹ바틀 간다 바ㅌ바테 간다 바ㅌ받또 널버서 바ㄷ 너ㄼ반만 간다 바ㄴ 2.1. 기저형 설정 방법: 뒤에 모음으로 오는 것을 만족시켜야 한다.밫+을 X cf. 빛을받+을 X반+을 X=> 결국 기저형은 /밭/이다.넓다[널따] 파열음 뒤 경음화(ㄷ->ㄸ), 자음군단순화(ㅂ->∅)넓+어서널+어서 X=> 결국 기저형은 /넓/이다. ※ 방언에서무꺼라 뭉꺼라무끄면 뭉끄면뭉는다(평파열음 후 비음동화) 뭉는다묵꼬(평파열음 후 경음화) 뭉꼬 ※ 대개 뒤에 모음이 오는 말이 붙으면 기저형을 알 수 있다.히읗 히으시 => .. 2018. 12. 4.
8장 교체 교체는 하나의 기저형, 형태소가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꽃/-> [꽃], [꼳], [꼰], [꼼] /형태소/-> [n1], [n2], [n3], [n4] 형태소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소리의 최소 단위를 뜻하고 [n1], [n2], [n3]…는 이형태이다. 이를 형태와 이형태의 관계라고 하며 이것은 음소와 변이음의 관계와 비슷하다. 형태는 우리 머릿속에 있는 추상적인 것이고, 이형태는 실제로 우리가 듣고 사용하는 구체적인 것을 말한다. 1.2. 교체와 이형태 [꽃]-> 대표 이형태, 기저형으로 잡는다 [꼳]-> 평파열음화 [꼰]-> 평파열음화, 비음화 [꼼]-> 평파열음화, 양순음화 ▶ 교체형끼리는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교체유형 *동기(자동성) – 자동적교체: 제약에 의해 무조.. 2018. 12. 3.
7장(4) 탈락, 첨가, 축약 탈락 ▶ 자음군 단순화 : 음절 말에 자음이 하나만 올 수 있다는 제약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CC->C이다. 즉, C->∅ 입력: 자음군 환경: CC$ =>자음 2개가 음절경계에 놓이게 되면, 즉 음절말에서 Ex. 몫+이->[목씨] 뒤음절 초성으로 간다 +도->[목또] ㅅ->∅ 없+어->[업써] 뒤음절 초성으로 간다 +고->[업꼬] ㅅ->∅ Ex. 넋+도 ->[넉또], 울+은 -> [우ᇍ] -> [운] 울+으니 -> 울니(‘으’탈락) ->우니(‘ㄹ’탈락) cf. ‘잡+으니’의 사례로 봤을 때 ★ ‘무릎, 닭’의 공통된 음운현상에 대해 설명하라 ‘무릎+도’가 평파열음화에 의해서 ‘ㅂ’으로 실현된다. 이렇듯 교체형의 단일화를 실현한다. ‘닭’도 자음군단순화와 관련해서 교체형의 단일화가 나타난다. ▶ 후.. 2018. 12. 2.
7장(3) 대치 1. 평파열음화 출력: ㅂ, ㄷ, ㄱ 입력: (-평음), (-파열음) → (+평음), (+평파열음) ※ 입력이 두개면 이 둘을 같은 음운현상으로 보느냐 다른 음운현상으로 보느냐? -> 평음이 아닌 것은 평음으로 바뀌고, 파열음이 아닌 것은 평파열음으로 바뀐다. 그래서 하나로 봐도 문제가 없다. 왜냐하면 같은 출력의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 둘을 모두 평파열음화로 본다. 이러한 현상의 근본적인 이유는 음절 말 구조제약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필수적이다. 또한 묶어서 보는 것이 근본적이기 때문에 하나로 봐도된다. 왜냐하면 재료와 관계없이 최종적인 출력이 같고 환경도 같기 때문에 입력을 구분하지 말고 평파열음화로 보는 것이다. 환경: 음절 말 → 제약 2개(1. 하나만 올 수 있다, 2. ㄱ, ㄴ, ㄷ,.. 2018. 12. 2.
7장(1) 음운현상의 이해 음운현상이란? 음운변화를 관찰하고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설명해내는 것 통시적 현상과 공시적 현상을 구분하는 이유는 더 본질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 통시적 현상(변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과거에서 지금까지 시간이 변하면서) Ex. ᄀᆞᅀᆞᆶ > 가을 ▶ 공시적 현상(변동): 말하는 순간, 특정 상황에서 변화하는 것 Ex. Read: 읽- -> 읽어라[일거라], 읽으면[일그면], 읽고[일꼬], 읽는다[잉는다] but 다른 언어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따르지 않는다. Ex. 천안문 (tiananmun) -> 독립적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國文 -> 중국에서는 두개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국문(ㄱ(입력)->ㅇ(출력)): 우리의 머리속에는 [궁문] -> 통시적: 과거의 어느 순간에 바.. 2018. 12. 2.
6장 음운론적 제약 제약을 따지는 이유: 음운 규칙을 보다 정확하게, 근본적인 차이에서 이해하기 위해서 1. 음운론적 제약의 이해 ▶ 국수 -> [국쑤]라고 발음되는 이유(경음화가 일어나는 이유) ▶ Spring: ㅅㅍ링이 안되는 이유 -> 한국에서 초성에는 1개의 자음만 올 수 있기 때문에 ▶ Bat: 뱉X, 배트 -> 한국어는 종성에 ㅌ이 올 수 없다는 제약이 있다. 원어의 발음과도 달라지기 때문에(원어는 ㅌ소리가 나지만 ‘뱉’으로 발음하면 ㄷ으로 발음된다) 뒤에 ‘ㅡ’를 넣어서 2음절로 수용한다. ▶ 값도/값이/값 [갑]: 음절이라는 단위/초성, 중성, 종성 -> 구조제약 ex. 초성에는 하나의 자음만 온다 ex. 잎->입(구조제약) 음절말에는 7개의 자음만 올 수 있다. ▶ ㄱ, ㅏ, ㅂ -> 배열(개별 음소들의 연.. 2018. 12. 2.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