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36

정규표현 및 AWK프로그래밍 1. Dot 2. Character class [ ]: 각 괄호 안에 적은 문자들 중 어느 하나 ex. [aeiou]s : s앞에 a,e,i,o,u중 어느 것이 와도 된다. ^: 나열된 문자를 제외한 임의의 하나의 문자 ex. [^aeiou]s 3. Anchor ^: 찾고자 하는 문자열이 라인의 맨 처음에 있는 경우만 골라내고자 할 때 ex.^th: th라는 문자열이 라인의 맨 처음에 온 경우 $: 찾고자 하는 문자열이 라인의 맨 끝에 있는 경우만 골라내고자 할 때 ex. to$: to라는 문자열이 라인의 맨 끝에 온 경우 3.1. Alternation(|:수직바) : to|in = (to)|(in): to가 오거나 in이 온 경우 +실제로 괄호나 마침표가 들어있는 문자열을 찾고싶을 때에는 \를 그 앞에.. 2022. 1. 20.
유닉스 명령어 기초 1. mkdir, cd 2. cat : 지정한 파일을 화면에 출력해 보여줌 -> cat --help -> cat sdic_u8.txt -> cat -b sdic_u8.txt > sdic_num.txt -> cat x?? > sdic02.txt 3. redirection :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것 -> cat file.txt > redirected_file_name.txt -> cat file.txt >> redirected_file_name.txt 4. copy, mv, rm -> copy *.txt d:\temp\2nd 5. head, tail -c숫자(바이트), -n숫자(줄) -> head -n1 yeoeuiju.txt. > yeoeuiju3.txt -> head -c10 x* >x.txt 6. w.. 2022. 1. 20.
[한국어교육]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는 사이트 https://z-lib.org/ Z-Library. The world's largest ebook library. Contains 9,504,000+ books and 84,837,000+ articles for free. z-lib.org 여러가지 책들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곳이다. 주로 영어로 된 학술지나 교재를 찾아본다. https://www.twoponds.co.kr/en/snu# 투판즈 도서출판 유통, 생활용품 제조, 봉슈아 오픈몰 운영. 서울시 강남구 도곡로 193 위치. www.twoponds.co.kr 서울대학교 한국어교재를 다운받을 수 있다.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6af8505aef34da3 한국어교육개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 2022. 1. 20.
7장(2) 음운 현상의 구성 요소 입력 -> 출력 (입력과 출력 사이에는 시간(전, 후)과, 환경(변화가 일어나는 환경)이 개입된다) 입력, 출력, 환경(왜 일어나는가?) A(입력) -> B(출력) / _(환경) C : A가 B로 바뀌었다 C 앞에서 이것의 장점은 직관적으로 잘 보이고, 분리해서 각각을 드러내기가 쉽다는 것이다. 음운 현상의 분류 ▶ 말소리(음운현상)에 나타나는 유형 1. A -> B: 대치 -> 음소가 대치되었다기 보다 변별적 자질이 대치되었다고 보는게O (교체 X) 2. A -> ∅: 탈락, 삭제 3. ∅ -> A: 첨가, 삽입 4. AB -> C[+A, +B]: 축약(A, B가 C로 합쳐졌다, 각각의 속성을 보존하고 있다) 5. AB -> BA: 도치 대치가 가장 많이 일어나고, 탈락, 첨가, 축약, 도치(많이 안 .. 2022. 1. 20.
10장 음운론적 도출 우리의 머리속에는 기저형이 있고 그것들이 결합하는 규칙이 있다. Ex. 핥+더라 -> 하ᇎ더라 -> 하ᇎ떠라 -> 할떠라 (평파열음화) -> (경음화) -> (자음군단순화) => /핥+더라/의 ‘더라’는 가더라, 살더라를 봤을 때, ㄾ받침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것과 결합할 때 예를들어 핥+으니->[할트니]가 되므로 음운론적 도출과 규칙순 : 규칙의 적용 순서를 정해야한다. ① 읽+다 -> 읽따 -> 익따 (경음화) -> (자음군단순화) ② 읽+다 -> 익다 -> 익따 (자음군단순화) -> (경음화) ‘읽다->[익따]’를 설명하는 데에는 두 규칙의 순서를 어떻게 하든지 상관이 없지만 ‘읽고->[일꼬]’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경음화가 자음군 단순화보다 먼저 적용되어야 한다. ※ 급여순, 출혈순 일련의 음운규.. 2018. 12. 11.
9장 기저형 9장. 기저형1.1. 기저형의 개념기저형 ->(도출) 표면형: 기저형이 표면형으로 실현되는 음운규칙이다. 기저형이 표면형으로 도출될 때는 음운규칙이 적용된다. ※ 우리나라는 기저형을 밝혀쓴다바치 널따 바ㅊ 너ㄹ바틀 간다 바ㅌ바테 간다 바ㅌ받또 널버서 바ㄷ 너ㄼ반만 간다 바ㄴ 2.1. 기저형 설정 방법: 뒤에 모음으로 오는 것을 만족시켜야 한다.밫+을 X cf. 빛을받+을 X반+을 X=> 결국 기저형은 /밭/이다.넓다[널따] 파열음 뒤 경음화(ㄷ->ㄸ), 자음군단순화(ㅂ->∅)넓+어서널+어서 X=> 결국 기저형은 /넓/이다. ※ 방언에서무꺼라 뭉꺼라무끄면 뭉끄면뭉는다(평파열음 후 비음동화) 뭉는다묵꼬(평파열음 후 경음화) 뭉꼬 ※ 대개 뒤에 모음이 오는 말이 붙으면 기저형을 알 수 있다.히읗 히으시 => .. 2018. 12. 4.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