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 시제
:어떤 사건이 일어난 특정 시점에 대한 문법적 표현, 즉 문법화된 시간적 위치
: 하나의 시점에 대한 다른 시점의 선후 관계
: 과거, 현재, 미래
- 상
:상황 내부의 시간적 구성을 보는 방법
: 상황 또는 사건이 해당 시간 속에서 완료된 것인지 미완료(또는 진행 중)인지 등을 나타냄
A: 나는 어제 숙제를 했다.(과거, 완료)
B: 나는 어제 숙제를 하고 있었다.(과거, 미완료)
이 둘의 시제는 ‘과거’라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상은 다르다. B는 미완결 상태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어떤 시제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2. 학습자 오류
-영어권 학습자의 오류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시제 과거의 일이라고 해서 모두 과거로 표현되지 않음
예) 나는 미국에서 커피 만든 일을 했어요.
다른 언어와 달리 한국어에서는 과거형으로 표현
예) 나는 우리 엄마를 닮아요.
-일본어권 학습자의 오류
두 언어에서 비슷한 표현이라고 해서 모두 바꿔 쓸 수 없음
예) ‘-고 있다’에 해당하는 일본어 -ている는 동작의 진행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결과 상태를 나타내기도 함
우리 결혼하고 있어요. (-ている를 그대로 번역해서 일어난 오류)
-중국어권학습자의 오류
한국어의 ‘-었/았-’(과거시제)과 중국어의 了(완료상)은 1:1 대응을 이루지 않는다.
예) 1학년 때 저는 늘 지각합니다.
한국어에서는 과거로 표현되지만 중국어에서는 了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3. 시제
3.1 시제의 구분
3.1.1 과거, 현재, 미래
사건시(상황시): 상황이 발생한 시점
발화시: 화자가 말을 하는 시점
3.1.2 절대시제와 상대시제
시제는 시간의 흐름 속에 있는 두 시점 사이의 상관관계에 의해 결정
기준점이 중요하다. 기준점은 발화시 or 상황시 이에 따라 시제 달라짐
예) Mike said that John was very smart.
: 간접인용절에서 영어는 발화시가 기준이 됨.
: 발화시를 기준으로 봤을 때 ‘Mike가 말한 행위’ ‘john이 똑똑한 것’이 과거
: 주절이 과거이면 과거의 상황도 과거(시제 결정에 주절의 영향이 절대적)절대시제
예) 철수는 영수가 매우 똑똑하다고 말했다.
: 상황시가 기준이 됨.
: 상황시를 기준으로 봤을 때 ‘철수가 말한 행위’는 과거 ‘영수가 똑똑한 것’은 현재시제
: 시제가 상황시의 시점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상대시제
3.1.3 시제의 언어적 표현 방법
-시제형태소와 어휘를 통해 예) -는-, -았- 오늘, 내일
-실재 접사와 비실재 접사를 통해 예) 버마어
3.2 시제의 문법적 체계
-시제형태소의 유무에 따라
a. 영분법 체계(무시제 언어)
: 문법적 시제 구분 없음
: 시제 표현은 어휘(시간 부사어 등), 상 등을 이용
:예) 중국어, 버마어
b. 일분법 체계
: 모든 시제에 동일한 문법요소 적용(무시제 언어와 동일)
: 시제 표현은 어휘(시간 부사어 등), 상 등을 이용
c. 이분법 체계
: 과거 : 비과거(현재 & 미래) 매우 많다 예) 영어, 일본어, 핀란드어
: 미래 : 비미래(과거 & 현재) 예)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어의 토착어
d. 삼분법 체계
: 과거 : 현재 : 미래 예) 프랑스어, 스페인어, 한국어
e. 다중분할체계
: 더 자세하게 시제를 구분
3.3 언어별 시제의 특징
3.3.1 한국어의 시제
삼분법 체계(과거 : 현재 : 미래)
과거시제선어말어미 ‘-었/았/였-’, 관형사형어미 ‘-(으)ㄴ’ ‘-던’
현재시제선어말어미 ‘-ㄴ/는-’과 영형태소, 관형사형어미 ‘-는’
미래시제선어말어미 ‘겠’, 관형사형어미 ‘-(으)ㄹ’
3.3.2 다른 언어의 시제
-중국어
무시제
: 시제가 문법형태소가 아닌 어휘로만 표현된다.
: ‘어제, 지금, 내일’이라는 시간 부사어를 통해 시제 나타냄
-영어
이분법 체계(과거 : 비과거)
예) The train arrives at 4 this afternoon.
: 현재로 미래를 대신 표현할 수 있다.
삼분법 체계(과거: 현재: 미래)
예) John will go home.
: 영어에서 미래는 우언적으로 표현된다.
: 미래시제는 shall/will V나 be going to V와 같은 조동사 구성을 사용.
: 하지만 이는 시제와 직접 관련된 말은 아니다. p293
-일본어
: 미래를 나타내는 문법표지가 없는 언어, 미래를 나타내는 어휘 あした (明日)을 사용
: 과거 시제는‘-た[ta]’
: 비과거 시제는‘-た[ta]’외의 모든형태
4.1 상의 분류
4.1.1 어휘상
: 동사는 시간적으로 지속이 가능한 동사와 그렇지 않은 동사가 있다.
A: 그 아이는 3년째 계속 자라고 있다. [+지속성]
B: *그 아이는 5분째 계속 떠나고 있다. [-지속성]
위 동사는 ‘지속성’에서 차이가 있다.
A: 그 사람이 오랜만에 웃었다. 그런데 뭐가 재미있는지 계속해서 웃었다. [-종결성]
B: *그 사람이 집을 지었다. 그런데 계속해서 (그) 집을 지었다. [+종결성]
위 동사는 ‘종결성’에서 차이가 있다.
상적 의미 | 동사의 구분 | |
지속성 | + | 달성동사 |
지속성- | 성취동사 | |
종결성 | + | 달성동사 |
종결성- | 행위동사 |
어휘상에 따른 동사의 구분
달성동사 | 성취동사 | 행위동사 | |
지속성 | + | - | + |
종결성 | + | - | - |
1) 진행형 여부
- 달성동사: 그는 집을 짓고 있다. (O)
- 행위동사: 그는 하늘을 보고 있다. (O)
- 성취동사: *그는 보물을 발견하고 있다. (X)
2) 단계성(완성의 정도) 여부
- 달성동사: 그는 집을 50% 정도 지었다. (O)
- 행위동사: *?그는 하늘을 50% 정도 보았다. (어색/X)
- 성취동사: *?그는 새로운 땅을 50% 정도 발견했다. (어색/X)
4.1.2 문법상
시제: 시간적으로 언제?
상: 시간적으로 어떻게?
-문법상의 분류
:완결상상황을 외부에서 보아 시간적 단계를 구별하지 않고 시작에서부터 끝까지를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하는 것 예) 나는 어제 숙제를 했다.
:미완결상상황의 내부에서 어느 한 지점의 상황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 예) 나는 어제 숙제를 하고 있었다.
4.2 언어별 상의 특징
4.2.1 한국어의 상
: 한국어의 상은 주로 보조용언을 통해 나타난다.
4.2.2 다른 언어의 상
-시제 중심 언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상 중심 언어: 러시아어, 아랍어
Cf: 중국어는 상이 시제보다 발달하긴 했으나 필수적이지 않다.
1) 한국어의 경우
:시제는 형태소를 통해서 나타나는 반면, 상은 보조용언을 통해 나타나 시제가 보다 더 문법화되어 있다.
한국어는 시제중심 언어
2) 다른 언어의 경우
-러시아어, 아랍어의 상: 접사에 의해 실현
-중국어의 상: 보조사의 형태소로 실현
-일본어의 상: 보조동사 구성으로 실현
-영어의 상: ‘be+현재분사’, ‘have+과거분사’의 통사적 구성으로 실현
-독일어의 상: 해당 문법 표지가 없음
'한국어 교육 KOREAN EDUCATION > 대조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조언어학 내 코퍼스 (0) | 2022.01.24 |
---|---|
인지언어학 관점 어휘 대조 (0) | 2022.01.24 |
(1) 대조언어학 개괄 (0) | 2022.01.24 |
대조언어학 기출 (0) | 2022.01.24 |
(2) 세계 언어의 이모저모 (0) | 2022.01.24 |
댓글